글로벌블레싱 이사장 조봉희 목사

 

   (사)글로벌블레싱은 1995년 4월에 통일부 법인 35호로 설립되었고, 북녘 장애인 협력 사업을 중점적으로 펼치고 있다. 장애인들과 소외된 이들에게 사랑과 평화의 빛을 비추며, 축복을 나누는 다리(Global Bridge)가 되는 것이 비전이다. 이번에 이사장에 취임하는 조봉희 목사를 서울 목동에 위치한 지구촌교회 목양실에서 만났다.

    지구촌교회 목회는 언제 시작하셨나요?

   1988년에 아파트 지하 대피소에 교회를 개척했다. 선교 지향적 의미로 교회 이름을 지구촌 교회라고 지었는데, 개척할 때만 해도 우리나라에 ‘지구촌’이라는 말이 없었다. 그래서 동네 지역 주민들에게 이단 같다는 오해를 많이 받았다. 2년 지나서 대우건설이 지구촌이라는 단어를 적극 사용하기 시작했다. 교회 개척을 33살에 했고, 이제 33년이 지났다. 올해 만 65세가 되었는데, 연말에 은퇴할 계획이다. 우리 교회 모든 항존직 임기가 65세다. 이제 담임목사직 은퇴하고 선교 인생을 살려고 한다. 원로목사 제도가 있긴 하지만, 교단적인 명칭에 불구하고 실제로는 선교 목사로 사역할 예정이다.

    선교 목회 계획은 무엇인가요?

   원래 북한 선교에 소명이 있었다. 신학교 다닐 때부터 구 소련 공산권 선교에 연루되었다. 하나님 인도하심으로 극동방송 아세아방송에서 단파방송으로 중국 조선족들과 러시아 고려인들에게 방송 보내는 일을 했다. 신학교 때부터 하나님이 분명한 확신을 주셨다. 우리 선교의 마지막 과제는 가장 멀고도 가까운 땅인 북한이라는 확신이다. 소련 선교는 거쳐 가는 과정이고, 결국은 통일 선교, 민족 복음화를 선교 소명으로 여겼다. 전도사 때에 사마리아가 어딘가 고민할 때, 북한이구나 싶었다. 그 때 마음이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

 

◇ 6월 20일, 글로벌블레싱 이사장 취임패 전달식 © 김대환
◇ 6월 20일, 글로벌블레싱 이사장 취임패 전달식 © 김대환

 

  지구촌교회도 북한 선교에 적극적인가요?

   우리교회 초창기 장로님들은 임직 받을 때 모두 선서했다. 우리 시대에 통일이 이루어지면 모든 사업을 다 접고 북한으로 올라간다고. 또 교회 장로님들이 주일예배 대표기도를 하면 반드시 북한에 대한 중보 기도를 필수로 하고 있다. 그런데 이 일을 하나님이 사용하셔서 한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키신 사례가 있다. 러시아 주재원으로 있다가 예수님 만나서 탈북한 분이 이야기 해주었다. 러시아 근로자들이 우리 교회 예배를 유튜브로 보는데, 장로님들이 북한을 위해서 기도하는 것을 들었다고 한다. 그 기도에 많은 이들이 눈물을 글썽글썽한다고 하더라.

    북한 선교 사역은 어떻게 해오셨나요?

   우리는 처음부터 선교지향적 교회를 하려고 했고, 목회와 선교에 대한 달란트가 북한선교다. 처음에는 직접 북한을 도울 일이 별로 없었다. 당시에 미국의 기독 의료선교회가 활성화되어 있어서, 한인 의사들과 기독 의료선교회 분들이 1년에 2~3번씩 평양에 자주 들어갔다. 김일성대학에 가서 의과생들 가르쳐주고 의료장비를 지원해주면서 소리 없이 많이 섬겼다. 미국에서 큰 지원을 많이 했고, 그 틈새에 우리도 같이 했다. 내 마음 속에는 북한을 사랑하는 마음이 꾸준히 있었다. 하나님께서 선교를 준비시켰는데, 때가 되니 연결되었다.

    북한 사역 관련하여 지구촌교회의 특징이 있나요?

   대부분의 한국교회가 북한 선교를 위한 탈북민 부서를 따로 만드는데, 우리도 처음에는 그렇게 했다. 우리 교회에 탈북해서 총신대와 합신대학원에서 공부한 목사님이 한 분 있다. 다른 교회들은 탈북한 목사는 북한 사역만 하는데, 나는 그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처음에 그 분이 탈북민 부서를 개척했는데, 교구를 맡아야 남북한을 끌어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처음에는 일부 교인들이 반발했다. 남한을 모르는 사람이 어떻게 본인을 목회하냐고 불평하는 교인들도 있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 왔으면 대한민국 목사다. 그런 멘탈리티를 버리라고 설득했다. 지금은 서로 아주 만족하며 좋아한다. 그리고 우리는 탈북자라고 안 한다. ‘통일민’이라고 부른다. 통일의 전사들이라는 뜻이다. 1991년 즈음에 연길에서 탈북한 숨은 그리스도인을 만났다. 그들의 신앙고백문을 줬는데, 첫 타이틀을 보고 엉엉 울었다. “우리는 예수의 전사입니다”라는 말이 너무 가슴에 와 닿았다. 그래서 통일민이라는 이름을 쓰게 되었다.

 

© 김대환
© 김대환

 

  ‘통일민’이라는 용어는 무슨 뜻인가요?

   하나님이 탈북시키든 중국에서 살게 하든, 통일을 위해서 준비된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그들이 단순히 탈북했다고 하지 말고, 하나님께서 남한을 경험시키려고 요셉처럼 보낸 사람들로 봐야 한다. 본인들은 개인적인 이유로 탈북했지만, 하나님 역사의 관점으로 볼 때, 먼저 모든 생활을 경험시켜서 나중에 통일 될 때 북한에 다시 돌아가서 그들을 도울 수 있는 사람들이 될 것이다. 우리가 북한을 돕는 것은 지엽적이고 옆에서 지원하는 것이고, 실제적인 일은 통일민들이 해야 한다.

    목사님은 글로벌블레싱과 어떻게 연결되셨나요?

   하나님의 타이밍으로 인도하셨다. 그 전에는 북한 재활치료를 조용히 섬겼다. 어느 선교 포럼에 갔다가 글로벌블레싱 이민교 대표를 만났다. “한반도의 38선이 마치 허리가 잘린 장애인 같다”는 말을 했는데, 나한테 하는 말 같아서 처음으로 울었다. 사실, 내가 장애인이다. 군대에서 허리 다쳐서, 상이 군인으로 제대했다. 겉모습은 멀쩡한데, 꽤 심각하다. 왜 하나님께서 나에게 이런 아픔을 주셨을까 생각할 때, 아픈 자들을 섬기라는 뜻으로 받아들였다. 일은 대표님들이 다 하고, 나는 열심히 뒷바라지 하라고 사명 주신 것이다. 이사장은 어쩔 수 없는 명칭에 불과하고, 심부름꾼이라는 말을 좋아한다.

    글로벌 블레싱의계획은 무엇인가요?

   글로벌블레싱은 작은 자를 소중하게 생각하며, 사랑과 평화, 나눔과 섬김을 실천하려고 한다. 특히 장애인들 인권을 잘 살려주고 보살펴주려고 한다. 우리나라도 지적장애인들이 인간 대우 받은지 얼마 안 되었다. 장봉도에 있는 혜림원이 우리나라 최초 정신지체 장애시설인데, 성인이 되면 단체에서 나와야 한다. 이들이 가족이 없어서 사회에 적응을 못 한다. 너무 마음 아프고 슬퍼서 우리교회가 앞장서서 도왔다. 예전에 중고등부 수련회를 거기서 했는데, 같이 어울리는 것을 교육시켰다. 가서 우리끼리 따로 밥 먹는 것은 섬김이 아니다. 섬김은 같이 하는 것이다. 북한의 장애인들을 우리가 어떻게 사랑으로 섬길 수 있을지 기도하고 있다. 북한에 대한 정복주의적 입장이 아니라, 북한을 섬기고 축복하는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선교다. 또한 글로벌 블레싱은 기독교 이름을 내세우지 않는다. 예수님 말씀에 오른 손 하는 일을 왼 손이 모르게 하라고 하셨는데, 대부분의 교회는 그걸 안 지킨다. 조금 해 놓고 신문에 광고한다. 예수님께서 사진 찍어주시면 됐지, 그럴 필요 없다. 착한 사마리아인처럼 순수하게 하면 다 통한다고 믿는다. 우리가 사심 없이 하는 것을 인정받을 때까지, 그들이 원하는대로 협력할 것이다. 남북한이 같이 살자고 하다보면 주님이 알아서 역사하실 것이다.

 

 

◇ 글로벌블레싱 홈페이지
◇ 글로벌블레싱 홈페이지

 

 북한 선교와 통일을 위해서 교회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요?

   최근 어느 선교포럼에서 독일 통일에 대한 평가를 들었다. “독일 통일 이후에 교회가 통일이라는 선물을 받았음에도, 영적으로 인도하지 못했다. 동독교회가 복음으로 준비하지 못했고, 결국 통일만이 목적이었기 때문이다. 교회가 통일만 강조하고, 통일 이후를 준비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똑같은 전철을 밟을 것이다.” 이 말에 매우 공감한다. 우리도 통일 이후를 준비해야 한다. 또 우리는 한 민족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한 민족이 하나 될 때 대한민국이 글로벌 국가가 될 수 있다. 내면은 복음 통일이지만 외적으로 우리 민족이 하나 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기독교가 주도한다고 하면 안 된다. 남북한이 한 민족이자 한 겨레인데, 북한이 못 살면 되겠나. 그런 면에서 여러 가지 도와야 한다. 그러다보면 통일이 될 것이다. 교회가 조급해하지 말고, 순수한 마음으로 뒷바라지 해주면 된다. 나중에 한 세대가 지난 후에 “이 일을 누가 했나 봤더니, 남한 교회가 했구나” 해야지, 빨리 열매부터 따려고 하면 안 된다.

저작권자 © 주간기독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