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새주소
페이지 정보
하재린운 0 Comments 0 Views 25-09-14 12:42본문
지난 12일 오후 찾은 서울 강서구 마곡안전체험관 3층 재난안전체험존 자연재해안전체험실. 기자가 강사 지시에 따라 책상 밑으로 들어가 엉덩이를 바닥에 붙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 박병국 기자.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지진이야!”소리에 지축이 좌우로 흔들린다. 진도 7 규모의 지진이다. “엉덩이를 바닥에 붙이세요”라는 강사의 말이 들려왔지만 따르기가 쉽지 않다. “책상 밑에 들어가 쿠션을 머리 위로 올리고 한 손으로는 책상다리를 잡으세요.” 이 역시도 말처럼 되지 않는다. “어? 어? 어?” 참여자들이 균형을 잃고 당황하기 시작했다. 기자도 중심을 잡지 못했다. 사무실이 흔들리기 시작한 뒤 10여초가 지나서야 강사가 말한 자세를 잡을 우리은행미소금융재단 수 있었다. 허용하 마곡안전체험관 관장은 “체험관의 경우 횡(좌우)으로만 움직이지만 실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종(상하)으로 같이 움직인다. 진도 4만 되도 움직이기가 힘들어진다”고 말했다.
지난 12일 오후 찾은 서울 강서구 마곡안전체험관 3층 재난안전체험존 자연재해안전체험실. 지진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공공기관 사무실에서 지진이 전세보증금 반환 난 상황을 가정했다. 사무실 가운데는 2열의 테이블이 놓였다. 참가자가 테이블에 착석하면 지진체험은 시작된다. 진도1에서 부터 7까지의 지진을 체험할 수 있다.
서울 강서구 마곡안전체험관 3층 재난안전체험존 자연재해안전체험실. [강서구 제공]
직업군인대출
이날은 진도 7 규모 수준에서 체험이 진행됐다. 본지 기자를 비롯 6명의 기자가 참여했다. 진동이 시작되자 여기저기서 비명소리가 들렸다. 쿠션을 잡기도, 앉기도 책상다리를 잡기도 힘들었다. 30여초간의 흔들림이 끝나자 가지런했던 테이블은 모두 본래 위치를 벗어났다.
“여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이나 소지품 비씨카드 으로 머리를 감싸세요. 머리 위에 떨어지는 건 없는지 잘 보면서 대피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강사의 지시에 따라 지진 체험관을 빠져 나왔다. 통로는 금이 간 벽과 기울어진 벽, 머리위로 떨어질 것 같은 콘크리트 잔해, 기울어진 편의점 간판 등으로 실제 지진 현장을 방불케했다.
다음으로 찾은 곳은 풍수해 안전체험실. 이곳에는 지난 2022년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위한 정부지원금 사용법 8월 8일 발생한 관악구 신림동 침수 사건을 모티브로 만든 침수 체험관이 있다. 당시 1시간에 136.5㎜의 집중호우가 내리며 침수가 진행됐다. 이 사고로 일가족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침수 체험관은 지하1층에 있는 방 밖에 물이 차오르는 상황을 가정했다. 물이 30㎝ , 40㎝, 50㎝ 각각 차올랐을 때 탈출 할 수 있는지를 체험한다. 기자는 50㎝로 물이 차오른 상황에서 문 열기를 시도했다. 한 번!, 두 번!, 세 번!. 온 몸에 무게를 싣고 밀었지만 문은 열리지 않았다. 침수피해 체험관 강사는 “가로 세로 1m씩되는 공간 안에서 물이 10㎝ 정도 쌓이게 되면 물의 무게는 100kg 정도”라며 “집중 호우가 생겼을 때 물이 건물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끔 차수판을 설치하거나 우리 집 주변에 있는 이런 배수 시설을 한 번씩 점검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라고 말했다.
12일 찾은 서울 강서구 마곡안전체험관 교통안전존 교통안전체험실. 3D 그래픽으로 측면과 전면, 마곡 거리를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박병국 기자
2층의 교통안전존 교통안전체험실도 찾았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1399 버스, 가곡초와 강서공고를 순회하는 버스다. 버스 전면과 측면을 모두 3D영상으로 구현해 실제 거리를 달리는 버스 내 상황을 경험하는 곳이다.
버스 좌석에 앉자 “안전벨트를 매라”는 강사의 설명이 이어진다. “출발” 구호에 버스 시동 소리가 들리며 주위가 어두워졌다. 곧 다시 환해지는 창밖, 어느새 버스는 ‘마곡’거리를 달리고 있다. 인도를 지나가는 사람과, 정류소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도 창밖으로 보인다.
“왼쪽으로 차선 변경 해볼게요. 오른쪽에서 차가 오네요. 조심해야 됩니다. 왼쪽에서 신호위반 차량이 다가오고 있어요” 강사의 말이 끝나자마자, ‘끽’ 소리가 들린다. 이어 터지는 ‘쾅’ 하는 소리. 기자의 몸이 갑자기 앞으로 쏠렸다. 교통사고 상황을 의자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으로 재현한 것이다. 멀리서 들리는 경찰차의 사이렌 소리가 점점 가까워지며 체험은 마무리 된다.
교통안전존 교통안전체험실. [강서구 제공]
다음으로 향한 곳은 지하철 안전 체험실. ‘마곡안전체험관역’ 지하철 5호선 플랫폼과 열차 내부를 그대로 옮겨왔다. 지하철 내 화재상황과 대피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지금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익숙한 안내 멘트와 함께 열차가 도착했다. 문이 열리고 참여자들이 지하철 내부에 착석했다. “코와 입을 젖은 손으로 막고, 자세를 웅크리고 선로 탈출을 할 예정입니다.” 강사의 설명이 끝나자 어느새 달리는 기차 안이다.
갑자기 들리는 ‘펑’하는 소리. 노약자 좌석 밑에서 ‘연기’가 피어오른다. 참여자들은 강사의 주문대로 “불이야”를 외쳤다. 기자 한명이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5678-1호차에서 불이 났습니다”라고 말했다. 열차 스피커에서는 “화재 발생, 화재발생, 비상구를 통해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대피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목소리가 반복됐다. 기자들은 코와 입을 막고 어두운 선로를 빠져나왔다.
이날 기자들의 체험은 약식으로 진행돼 50여분 만에 마무리 됐다. 마곡안전체험관은 교통안전, 자연재난, 화재안전, 보건안전, 사회기반안전, 학생안전 등 6개 분야 12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6개 프로그램을 다 체험하려면 총 4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재난안전체험존에서는 지진체험과 침수 체험 뿐 아니라 초속 18m 강풍체험이 가능하다. 화재안전 체험에서는 연기 대피와 완강기 VR체험을 통해 화재 발생시 행동요령을 익힌다. 보건안전 분야에서는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을 실습한다. 민방위 대원 특화 프로그램으로는 화생방 및 대피시설 체험과 안전디딤돌 앱 활용교육을 운영한다. 학생 특화 프로그램으로는 미아안전과 신변안전 교육을 진행한다.
체험관은 지난해 5월부터 시범운영을 거쳐 같은 해 7월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시범운영을 시작한 후 지난달까지 누적 14만 2062명이 교육을 수료했다. 만족도도 92.5%로 높았다.
체험관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한다.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할 수 있으며,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교육대상은 6세 이상 시민, 학생, 민방위대원이다. 13세 미만 어린이는 반드시 보호자를 동반해야 한다.
매월 1일 예약접수가 시작되며, 이용일 전월 1일부터 이용일 1일 전까지 17시까지 예약 가능하다.
진교훈 강서구청장은 “재난 상황에서는 평소 연습과 훈련이 생명을 좌우하는 만큼 실전과 같은 체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첨단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안전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지진이야!”소리에 지축이 좌우로 흔들린다. 진도 7 규모의 지진이다. “엉덩이를 바닥에 붙이세요”라는 강사의 말이 들려왔지만 따르기가 쉽지 않다. “책상 밑에 들어가 쿠션을 머리 위로 올리고 한 손으로는 책상다리를 잡으세요.” 이 역시도 말처럼 되지 않는다. “어? 어? 어?” 참여자들이 균형을 잃고 당황하기 시작했다. 기자도 중심을 잡지 못했다. 사무실이 흔들리기 시작한 뒤 10여초가 지나서야 강사가 말한 자세를 잡을 우리은행미소금융재단 수 있었다. 허용하 마곡안전체험관 관장은 “체험관의 경우 횡(좌우)으로만 움직이지만 실제 지진이 발생할 경우, 종(상하)으로 같이 움직인다. 진도 4만 되도 움직이기가 힘들어진다”고 말했다.
지난 12일 오후 찾은 서울 강서구 마곡안전체험관 3층 재난안전체험존 자연재해안전체험실. 지진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공공기관 사무실에서 지진이 전세보증금 반환 난 상황을 가정했다. 사무실 가운데는 2열의 테이블이 놓였다. 참가자가 테이블에 착석하면 지진체험은 시작된다. 진도1에서 부터 7까지의 지진을 체험할 수 있다.
서울 강서구 마곡안전체험관 3층 재난안전체험존 자연재해안전체험실. [강서구 제공]
직업군인대출
이날은 진도 7 규모 수준에서 체험이 진행됐다. 본지 기자를 비롯 6명의 기자가 참여했다. 진동이 시작되자 여기저기서 비명소리가 들렸다. 쿠션을 잡기도, 앉기도 책상다리를 잡기도 힘들었다. 30여초간의 흔들림이 끝나자 가지런했던 테이블은 모두 본래 위치를 벗어났다.
“여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이나 소지품 비씨카드 으로 머리를 감싸세요. 머리 위에 떨어지는 건 없는지 잘 보면서 대피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강사의 지시에 따라 지진 체험관을 빠져 나왔다. 통로는 금이 간 벽과 기울어진 벽, 머리위로 떨어질 것 같은 콘크리트 잔해, 기울어진 편의점 간판 등으로 실제 지진 현장을 방불케했다.
다음으로 찾은 곳은 풍수해 안전체험실. 이곳에는 지난 2022년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위한 정부지원금 사용법 8월 8일 발생한 관악구 신림동 침수 사건을 모티브로 만든 침수 체험관이 있다. 당시 1시간에 136.5㎜의 집중호우가 내리며 침수가 진행됐다. 이 사고로 일가족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침수 체험관은 지하1층에 있는 방 밖에 물이 차오르는 상황을 가정했다. 물이 30㎝ , 40㎝, 50㎝ 각각 차올랐을 때 탈출 할 수 있는지를 체험한다. 기자는 50㎝로 물이 차오른 상황에서 문 열기를 시도했다. 한 번!, 두 번!, 세 번!. 온 몸에 무게를 싣고 밀었지만 문은 열리지 않았다. 침수피해 체험관 강사는 “가로 세로 1m씩되는 공간 안에서 물이 10㎝ 정도 쌓이게 되면 물의 무게는 100kg 정도”라며 “집중 호우가 생겼을 때 물이 건물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끔 차수판을 설치하거나 우리 집 주변에 있는 이런 배수 시설을 한 번씩 점검해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라고 말했다.
12일 찾은 서울 강서구 마곡안전체험관 교통안전존 교통안전체험실. 3D 그래픽으로 측면과 전면, 마곡 거리를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박병국 기자
2층의 교통안전존 교통안전체험실도 찾았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1399 버스, 가곡초와 강서공고를 순회하는 버스다. 버스 전면과 측면을 모두 3D영상으로 구현해 실제 거리를 달리는 버스 내 상황을 경험하는 곳이다.
버스 좌석에 앉자 “안전벨트를 매라”는 강사의 설명이 이어진다. “출발” 구호에 버스 시동 소리가 들리며 주위가 어두워졌다. 곧 다시 환해지는 창밖, 어느새 버스는 ‘마곡’거리를 달리고 있다. 인도를 지나가는 사람과, 정류소에서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도 창밖으로 보인다.
“왼쪽으로 차선 변경 해볼게요. 오른쪽에서 차가 오네요. 조심해야 됩니다. 왼쪽에서 신호위반 차량이 다가오고 있어요” 강사의 말이 끝나자마자, ‘끽’ 소리가 들린다. 이어 터지는 ‘쾅’ 하는 소리. 기자의 몸이 갑자기 앞으로 쏠렸다. 교통사고 상황을 의자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으로 재현한 것이다. 멀리서 들리는 경찰차의 사이렌 소리가 점점 가까워지며 체험은 마무리 된다.
교통안전존 교통안전체험실. [강서구 제공]
다음으로 향한 곳은 지하철 안전 체험실. ‘마곡안전체험관역’ 지하철 5호선 플랫폼과 열차 내부를 그대로 옮겨왔다. 지하철 내 화재상황과 대피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지금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 익숙한 안내 멘트와 함께 열차가 도착했다. 문이 열리고 참여자들이 지하철 내부에 착석했다. “코와 입을 젖은 손으로 막고, 자세를 웅크리고 선로 탈출을 할 예정입니다.” 강사의 설명이 끝나자 어느새 달리는 기차 안이다.
갑자기 들리는 ‘펑’하는 소리. 노약자 좌석 밑에서 ‘연기’가 피어오른다. 참여자들은 강사의 주문대로 “불이야”를 외쳤다. 기자 한명이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5678-1호차에서 불이 났습니다”라고 말했다. 열차 스피커에서는 “화재 발생, 화재발생, 비상구를 통해 안전한 장소로 신속히 대피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목소리가 반복됐다. 기자들은 코와 입을 막고 어두운 선로를 빠져나왔다.
이날 기자들의 체험은 약식으로 진행돼 50여분 만에 마무리 됐다. 마곡안전체험관은 교통안전, 자연재난, 화재안전, 보건안전, 사회기반안전, 학생안전 등 6개 분야 12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6개 프로그램을 다 체험하려면 총 4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재난안전체험존에서는 지진체험과 침수 체험 뿐 아니라 초속 18m 강풍체험이 가능하다. 화재안전 체험에서는 연기 대피와 완강기 VR체험을 통해 화재 발생시 행동요령을 익힌다. 보건안전 분야에서는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을 실습한다. 민방위 대원 특화 프로그램으로는 화생방 및 대피시설 체험과 안전디딤돌 앱 활용교육을 운영한다. 학생 특화 프로그램으로는 미아안전과 신변안전 교육을 진행한다.
체험관은 지난해 5월부터 시범운영을 거쳐 같은 해 7월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시범운영을 시작한 후 지난달까지 누적 14만 2062명이 교육을 수료했다. 만족도도 92.5%로 높았다.
체험관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한다.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할 수 있으며,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교육대상은 6세 이상 시민, 학생, 민방위대원이다. 13세 미만 어린이는 반드시 보호자를 동반해야 한다.
매월 1일 예약접수가 시작되며, 이용일 전월 1일부터 이용일 1일 전까지 17시까지 예약 가능하다.
진교훈 강서구청장은 “재난 상황에서는 평소 연습과 훈련이 생명을 좌우하는 만큼 실전과 같은 체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첨단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안전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