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트위터
페이지 정보
하재린운 0 Comments 5 Views 25-10-12 15:54본문
[편집자주] 내 가족, 내 동네, 내 나라라는 표현보단 우리 가족, 우리 동네, 우리나라라는 말이 더 자연스럽다. 우리들 마음에 '공동체 정신'이 녹아 있어서다. 자신의 빛을 나눠 우리 공동체를 밝히는 시민들을 소개한다.
지난 9월 21일 광주 광산구 우산동 행정복지센터에서 100원회의 장학금 기탁식이 열리고 있다. 뉴스1 DB
(광주=뉴스1) 박지현 기자 = 커피 한 잔 값도 되지 않는 하루 100원. 사소한 돈이 27년 동안 모여 1171명의 학생에게 2억여 원의 장학금으로 돌아갔다. 김희만 회장(77)이 만든 '100원회' 이야기다.
김 회장을 과외중개업체 추석연휴 시작 전인 지난 2일 만났다.
1999년 IMF 외환위기 직후 광주 서구청 공무원이던 김 씨는 신문 한 구절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휴가 나온 아들에게 고기 한 근을 사주지 못해 구속된 어머니.' 그는 충격을 받았다. 아무리 어렵다 해도 이렇게까지 무너질 수는 없다는 절망감이 엄습했다.
그 순간 책상 위에 놓 1금융권 전세자금대출 인 동전 몇 개가 눈에 들어왔다. 그날의 '하루 100원이라면 누구나 낼 수 있지 않겠는가' 결심이 100원회의 시작이었다.
처음에는 비웃음도 따라다녔다. '100원으로 뭘 할 수 있겠냐'는 회의적인 시선, 공무원 신분으로 영달을 노린다는 오해까지 겹쳤다. 하지만 김 회장은 포기하지 않았다.
김 회장은 "하다 말면 '그럴 학원강사취업 줄 알았다'는 말을 들을 것 같았다. 그래서 더 고집을 꺾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렇게 시작한 모임은 어느덧 전국 750여 명이 참여하는 작은 공동체로 자라났다.
100원회의 회원은 유치원생부터 80대 어르신까지 다양하다. 지금까지 대학생 277명, 중·고교생 894명 등 모두 1171명의 학생이 이 장학금을 받아 연봉 실수령액표 학업을 이어갔다. 생활비, 의료비, 난방비 지원과 독거노인을 위한 영정사진 무료 제작도 꾸준히 이어왔다.
단체 운영에는 원칙이 있었다. 회원들의 회비는 오로지 장학금으로만 사용했다. 행사비나 운영비는 김 회장이 직접 충당했다. 퇴직 후에는 화물트럭을 몰며 경비를 마련했고, 밤길에서 공병과 폐지를 주워 팔기도 했다. 그는 "회원들이 맡긴 돈 모기지론대출 을 한 푼도 다른 데 쓰지 않는다"는 다짐을 27년째 지키고 있다.
1999년 당시 100원회 창립총회가 열리던 모습
회원들도 넉넉한 주머니 사정이 아닌 경우가 많다. 김 회장은 "어떤 분은 수년째 자동이체로 100원을 보내고, 어떤 분은 5년 만에 다시 떠올려 저금통을 가져오기도 한다"며 "중요한 건 금액이 아니라 꾸준함"이라고 전했다.
그의 기억 속엔 잊지 못할 장학생들이 있다.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대학 졸업까지 장학금을 받으며 지금은 대학병원 간호사가 된 제자, 유치원 시절 도움을 받다가 군 장교로 성장한 청년도 있다. 김 회장은 작은 씨앗이 사회 곳곳에서 꽃을 피우는 걸 보면 보람을 느낀다.
장학금 전달 현장에서는 예기치 않은 순간이 울림을 남기기도 했다. 몇 해 전에는 할머니 손을 잡고 온 네 살배기 아이가 돼지저금통을 내밀었다. 안에는 5만3000원이 들어 있었다.
봉사라는 일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가족들의 만류도 있었다. 아내는 "이젠 나이도 있고 건강도 챙겨야 한다"며 활동을 그만두길 권했다. 하지만 김 회장은 버티기로 했다. 버려진 공병 하나까지 주워 팔며 여기까지 왔는데 중간에 멈출 수는 없어서다. 지금은 가족들도 김 회장의 뜻을 존중하고 오히려 격려해 준다.
100원회의 활동은 사회적으로도 주목받았다. 2018년 국민추천포상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고, 2021년에는 광주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하지만 김 회장은 "상을 받으려고 한 게 아니고 상금이 나오면 몽땅 장학금에 보탰다"며 전했다.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무료로 영정사진을 인화해 전달하는 김희만 회장의 모습
그는 IMF 때와 지금의 현실을 겹쳐 본다. 요즘 경제가 어렵다는 말을 매일 듣기 때문이다. 커피 한 잔이 수천 원, 소주 한 병이 5000원 하는 세상이지만 하루 100원조차 버거운 사람들도 있어 나눔은 더 필요하다.
김 회장은 장학금을 받는 학생들에게 늘 같은 말을 건넨다. 언젠가는 또 다른 누군가의 '100원회'가 되어 나눔의 선순환을 이어가달라고 부탁한다.
김 회장은 "100원회는 제 청춘을 다 바친 인생의 전부"라며 "저는 그저 심부름꾼일 뿐이다. 학생들이 꿈을 이어가는 걸 보는 게 제 보람이다"면서 환한 웃음을 지어 보였다.
warm@news1.kr
지난 9월 21일 광주 광산구 우산동 행정복지센터에서 100원회의 장학금 기탁식이 열리고 있다. 뉴스1 DB
(광주=뉴스1) 박지현 기자 = 커피 한 잔 값도 되지 않는 하루 100원. 사소한 돈이 27년 동안 모여 1171명의 학생에게 2억여 원의 장학금으로 돌아갔다. 김희만 회장(77)이 만든 '100원회' 이야기다.
김 회장을 과외중개업체 추석연휴 시작 전인 지난 2일 만났다.
1999년 IMF 외환위기 직후 광주 서구청 공무원이던 김 씨는 신문 한 구절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휴가 나온 아들에게 고기 한 근을 사주지 못해 구속된 어머니.' 그는 충격을 받았다. 아무리 어렵다 해도 이렇게까지 무너질 수는 없다는 절망감이 엄습했다.
그 순간 책상 위에 놓 1금융권 전세자금대출 인 동전 몇 개가 눈에 들어왔다. 그날의 '하루 100원이라면 누구나 낼 수 있지 않겠는가' 결심이 100원회의 시작이었다.
처음에는 비웃음도 따라다녔다. '100원으로 뭘 할 수 있겠냐'는 회의적인 시선, 공무원 신분으로 영달을 노린다는 오해까지 겹쳤다. 하지만 김 회장은 포기하지 않았다.
김 회장은 "하다 말면 '그럴 학원강사취업 줄 알았다'는 말을 들을 것 같았다. 그래서 더 고집을 꺾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렇게 시작한 모임은 어느덧 전국 750여 명이 참여하는 작은 공동체로 자라났다.
100원회의 회원은 유치원생부터 80대 어르신까지 다양하다. 지금까지 대학생 277명, 중·고교생 894명 등 모두 1171명의 학생이 이 장학금을 받아 연봉 실수령액표 학업을 이어갔다. 생활비, 의료비, 난방비 지원과 독거노인을 위한 영정사진 무료 제작도 꾸준히 이어왔다.
단체 운영에는 원칙이 있었다. 회원들의 회비는 오로지 장학금으로만 사용했다. 행사비나 운영비는 김 회장이 직접 충당했다. 퇴직 후에는 화물트럭을 몰며 경비를 마련했고, 밤길에서 공병과 폐지를 주워 팔기도 했다. 그는 "회원들이 맡긴 돈 모기지론대출 을 한 푼도 다른 데 쓰지 않는다"는 다짐을 27년째 지키고 있다.
1999년 당시 100원회 창립총회가 열리던 모습
회원들도 넉넉한 주머니 사정이 아닌 경우가 많다. 김 회장은 "어떤 분은 수년째 자동이체로 100원을 보내고, 어떤 분은 5년 만에 다시 떠올려 저금통을 가져오기도 한다"며 "중요한 건 금액이 아니라 꾸준함"이라고 전했다.
그의 기억 속엔 잊지 못할 장학생들이 있다.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대학 졸업까지 장학금을 받으며 지금은 대학병원 간호사가 된 제자, 유치원 시절 도움을 받다가 군 장교로 성장한 청년도 있다. 김 회장은 작은 씨앗이 사회 곳곳에서 꽃을 피우는 걸 보면 보람을 느낀다.
장학금 전달 현장에서는 예기치 않은 순간이 울림을 남기기도 했다. 몇 해 전에는 할머니 손을 잡고 온 네 살배기 아이가 돼지저금통을 내밀었다. 안에는 5만3000원이 들어 있었다.
봉사라는 일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가족들의 만류도 있었다. 아내는 "이젠 나이도 있고 건강도 챙겨야 한다"며 활동을 그만두길 권했다. 하지만 김 회장은 버티기로 했다. 버려진 공병 하나까지 주워 팔며 여기까지 왔는데 중간에 멈출 수는 없어서다. 지금은 가족들도 김 회장의 뜻을 존중하고 오히려 격려해 준다.
100원회의 활동은 사회적으로도 주목받았다. 2018년 국민추천포상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고, 2021년에는 광주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하지만 김 회장은 "상을 받으려고 한 게 아니고 상금이 나오면 몽땅 장학금에 보탰다"며 전했다.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무료로 영정사진을 인화해 전달하는 김희만 회장의 모습
그는 IMF 때와 지금의 현실을 겹쳐 본다. 요즘 경제가 어렵다는 말을 매일 듣기 때문이다. 커피 한 잔이 수천 원, 소주 한 병이 5000원 하는 세상이지만 하루 100원조차 버거운 사람들도 있어 나눔은 더 필요하다.
김 회장은 장학금을 받는 학생들에게 늘 같은 말을 건넨다. 언젠가는 또 다른 누군가의 '100원회'가 되어 나눔의 선순환을 이어가달라고 부탁한다.
김 회장은 "100원회는 제 청춘을 다 바친 인생의 전부"라며 "저는 그저 심부름꾼일 뿐이다. 학생들이 꿈을 이어가는 걸 보는 게 제 보람이다"면서 환한 웃음을 지어 보였다.
warm@news1.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